@ 형식지정자
%d : 정수(10진수)
%ld : 변수형 중 long형
%c : 문자(문자 하나)
%s : 문자열("apple" 같이 여러문자)
%f : 실수(10진수, 11.34와 같이 소수점 이하에 값이 있는경우)
%lf : 변수형 중 double형(8byte)
%u : unsigned int 와 같이 부호없는 정수(10진수)
%lu : unsigned long
%x, %X, %lx, %lX : 부호없는(unsigned) 16진수
%o, %lo : 부호없는 8진수
@ 사용 예
일반적인 사용.
출력될 자릿수를 지정할 수 있으며,
실수형의 경우 소숫점 이하 자릿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
위에 일반적 사용과 비교해보세요.
- %10d 이런 형식으로 사용 되면, 10자리를 확보 한 후 뒤에서 부터 채우게 됩니다.
-%6d 라서 6칸 자리를 확보 하였구요..
%6.2f를 보시면 6은 6자리 확보하란 말이고 .2는 소수점 이하 두번 째 자리 까지만 출력하라는 뜻입니다.
(소숫점도 한자리 먹어요..)
- %.2f 와 같이도 사용 하실 수 있습니다.
-char 형의 경우 %d형식으로 출력하면 아스키 코드가 출력됩니다.
소문자 g의 아스키 코드는 103 이네요
참고
컴퓨터는 0, 1 이렇게 이진수만 이해 할 수 있다는 것은 아실 것입니다.
아스키 코드라는건 우리가 숫자 1이라고 입력하면 컴퓨터는 00000001이라는 값을 처리 하는 것이구요
A 라는 값을 입력하면 실제로는 01000001라는 값을 처리 하게 됩니다.
이렇듯 숫자, 알파벳, 공백이나 몇몇 특수문자의 코드를 말합니다.
아스키 코드표를 검색해보시고 저장 해 두셔도 될 거 같아요.
'IT > Program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canf() 함수를 이용하여 값을 입력 받아 보자 (0) | 2013.10.16 |
---|---|
c언어 변수 (0) | 2013.10.11 |
\n 외 자주쓰이는.. \t, \b, \r, \0 (4) | 2013.10.08 |